
나는 위 사진 코드와 달리 @PathVariable Long id를 요청하지 않고 세션 아이디를 가지고 유저를 찾곤 했었다
문제: 수준별 강의를 듣던중 내가 하던 방법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았다.
요청한 id로 찾은 userId의 값과 세션 아이디의 값을 비교해줘야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Status가 enum 타입인데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의문이 생겼다
JPA가 ENUM 타입을 매핑 시키는 방법:
@Enumerated(EnumType.STRING)을 사용하여 ENUM타입을 String으로 저장해준다
@Enumerated(Enum Type.ORDINAL) : Enum순서 값을 DB에 저장하는 것도 있지만 추천하지 않는 방식이라고 한다.

이런 방식으로 Repository의 파라미터로 값을 보낸다

그에 맞는 SQL 쿼리를 짜주어 해결
하지만 캡처 하면서 생각해 보았는데 staus의 값이N/Y처럼 2개라면 상관이 없을 것 같은데 만약 상태가 늘어난다면 저런 방식으로 못할것 같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02월 17일 TIL (1) | 2025.02.17 |
---|---|
[TIL] 스파르타 백엔드 캠프 (0) | 2024.12.10 |
[TIL] 스파르타 백엔드 캠프 & 트러블 슈팅 (1) | 2024.11.15 |
[TIL] 스파르타 백엔드 캠프 & 트러블 슈팅 (1) | 2024.11.08 |
[TIL] 스파르타 백엔드 캠프 (1)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