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제 설명
과일 장수가 사과 상자를 포장하고 있습니다. 사과는 상태에 따라 1점부터 k점까지의 점수로 분류하며, k점이 최상품의 사과이고 1점이 최하품의 사과입니다.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한 상자에 사과를 m개씩 담아 포장합니다.
상자에 담긴 사과 중 가장 낮은 점수가 p (1 ≤ p ≤ k)점인 경우,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p * m 입니다.
과일 장수가 가능한 많은 사과를 팔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계산하고자 합니다.(사과는 상자 단위로만 판매하며, 남는 사과는 버립니다)
예를 들어, k = 3, m = 4, 사과 7개의 점수가 [1, 2, 3, 1, 2, 3, 1]이라면, 다음과 같이 [2, 3, 2, 3]으로 구성된 사과 상자 1개를 만들어 판매하여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최저 사과 점수) x (한 상자에 담긴 사과 개수) x (상자의 개수) = 2 x 4 x 1 = 8
사과의 최대 점수 k, 한 상자에 들어가는 사과의 수 m, 사과들의 점수 score가 주어졌을 때,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따라서 최종 결과물은 [-1, -1, -1, 2, 2, 2]가 됩니다.
문자열 s이 주어질 때, 위와 같이 정의된 연산을 수행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 나의 풀이
입출력예시를 보면 [1,1,2] , [2,2,2] 처럼 처음 score배열에서 오름차순이 되어있어
Arrays.sort()를 사용하고 for문을 돌려 m만큼 짤라서 최대이익을 구하는 코드를 작성했다.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k, int m, int[] score) {
int answer = 0;
Arrays.sort(score);
for(int i=0;i<score.length;i+=m) {
answer+=score[i]*m;
}
return answer;
}
}
하지만 테스트 2개 중에 하나만 성공 했다. 그 이유를 보니 k가 3, m이 4, score의 길이가 7일때
상자 안에 4개가 담겼으면 3개는 버리는 과정을 생각을 못했다.
현재 오름차순이 되어있으니까 거꾸러 for문을 돌려보자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k, int m, int[] score) {
int answer = 0;
Arrays.sort(score);
for(int i=score.length;i>=m;i-=m) {
answer+=score[i-m]*m;
}
return answer;
}
}
for문 안에 범위 지정 해주는 것이 아직 능숙하지 못한것 같다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ㅣ[Java] 프로그래머스 Lv.1 가장 가까운 같은 글 (1) | 2025.03.25 |
---|---|
ㅣ[Java] 프로그래머스 Lv.1 삼총사 (1) | 2025.03.24 |